본문
학력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 박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 석사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교육학 문학사
주요 경력 및 활동
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인적자원개발전공 객원교수
전) 재단법인 경기도일자리재단 연구위원
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평생교육학과 객원조교수
전)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연구원
전)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위촉연구원
전) 숭실대학교 입학사정관
전) 동국대학교 입학사정관
주요연구
- 김지영, 이민영(2022). 중고령 임금근로자의 일자리 특성이 일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계층의식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직업능력개발연구, 25(3), 127-155.
- 김지영, 박혜원, 이민영(2021). 베이비부머의 평생학습으로서 경력개발에 관한 사례연구: 노동시장 재진입 과정을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17(2), 89-109.
- Jiyoung Kim & Hyewon Park(2020). An activity theory analysis of Korea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 case study of Electricity and Media Meister high school.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17(1), 3-22.
- 김지영, 이민영, 조아로, 김성혜(2019).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참여의 조절효과. 평생교육·HRD연구, 15(2), 27-56.
- 김지영, 김성혜, 조아로(2019). 조직 초기진입자가 인식한 조직문화와 조직특성이 무형식학습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HRD연구, 21(1), 67-92.
- 김지영, 이민영(2018). 대학생 일 경험에 따른 진로발달이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31(3), 135-157.
- 김지영, 구유정(2018). 유자녀 기혼여성에 대한 사회적 지원체제가 일-가정 간의 상호전이를 매개로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HRD연구, 20(2), 113-140.
- 구유정, 김지영, 김이주(2018). 유자녀 여성관리자의 경력개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직업교육연구, 37(2), 191-214.
- 김지영, 장원섭(2018). 대학원에 재학하는 직장인의 학습과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와 일터 활동 분석. 직업교육연구, 37(2), 167-190.
- 김지영, 이민영(2018). 중장년 여성의 직업훈련 참여 의미와 발전 가능성 탐색. 평생교육학연구, 24(1), 31-54.
- 김지영, 양현아, 이민영, 장원섭(2017). 중장년층 직업교육훈련 참여자의 교육만족도가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래교육학연구, 30(2), 23-42.
- 김지영, 장원섭(2017). 특수대학원에 재학하는 직장인의 학습체계와 모순에 대한 연구. 평생학습사회, 13(4), 1-23.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 박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 석사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교육학 문학사
주요 경력 및 활동
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인적자원개발전공 객원교수
전) 재단법인 경기도일자리재단 연구위원
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평생교육학과 객원조교수
전)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연구원
전)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위촉연구원
전) 숭실대학교 입학사정관
전) 동국대학교 입학사정관
주요연구
- 김지영, 이민영(2022). 중고령 임금근로자의 일자리 특성이 일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계층의식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직업능력개발연구, 25(3), 127-155.
- 김지영, 박혜원, 이민영(2021). 베이비부머의 평생학습으로서 경력개발에 관한 사례연구: 노동시장 재진입 과정을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17(2), 89-109.
- Jiyoung Kim & Hyewon Park(2020). An activity theory analysis of Korea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 case study of Electricity and Media Meister high school.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17(1), 3-22.
- 김지영, 이민영, 조아로, 김성혜(2019).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참여의 조절효과. 평생교육·HRD연구, 15(2), 27-56.
- 김지영, 김성혜, 조아로(2019). 조직 초기진입자가 인식한 조직문화와 조직특성이 무형식학습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HRD연구, 21(1), 67-92.
- 김지영, 이민영(2018). 대학생 일 경험에 따른 진로발달이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31(3), 135-157.
- 김지영, 구유정(2018). 유자녀 기혼여성에 대한 사회적 지원체제가 일-가정 간의 상호전이를 매개로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HRD연구, 20(2), 113-140.
- 구유정, 김지영, 김이주(2018). 유자녀 여성관리자의 경력개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직업교육연구, 37(2), 191-214.
- 김지영, 장원섭(2018). 대학원에 재학하는 직장인의 학습과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와 일터 활동 분석. 직업교육연구, 37(2), 167-190.
- 김지영, 이민영(2018). 중장년 여성의 직업훈련 참여 의미와 발전 가능성 탐색. 평생교육학연구, 24(1), 31-54.
- 김지영, 양현아, 이민영, 장원섭(2017). 중장년층 직업교육훈련 참여자의 교육만족도가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래교육학연구, 30(2), 23-42.
- 김지영, 장원섭(2017). 특수대학원에 재학하는 직장인의 학습체계와 모순에 대한 연구. 평생학습사회, 13(4),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