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연구분야
미술치료, 삶의 의미, 수퍼비전, 치료사 발달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상담심리학전공 석,박사.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미술치료학 석사
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학사, 석사.
주요경력 및 활동
전) 가족아카데미아 상담팀장 및 미술치료사. 열린마음 클리닉 미술치료사.
전) 동국대학교 예술치료학과 겸임교수, 이화여대, 한양대, 고려대, 서울여대 등 강의
현) 성북예술치유허브 운영위원회
학회활동
한국통합치료학회 학제간 연구위원장
한국심리학회 및 한국상담심리학회 정회원
한국임상예술학과 미술치료 분과위원장
한국예술심리치료학과 정회원
학회발표
2014년 한국심리치료학회 춘계학술대회 [미술치료에서의 평가]
2013년 한국심리치료학회 춘계학술대회 [ADHD와 미술심리치료]
2010년 한국임상예술학회 추계학술대회 [정신분열병과 미술치료]
2010년 한국임상예술학회 추계학술대회 [통합예술치료적 개입]
논문 및 저서
<논문>
유성경, 박은선, 김수정, 조효진(2014).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1997-2013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2), 441-465.
박은선, 홍윤선(2013). 전반적인 미술치료 수퍼비전과 미술을 기반으로 한 수퍼비전 현황, 인식 및 만족도. 예술심리치료연구, 9(2), 91-115.
박은선, 박지아(2013). 삶의 의미 연구의 국내 동향과 과제. 사회과학연구논총, 29(1), 267-299.
박은선(2009). 미술치료의 이해. 모드니예술. 2, 77-88.
박은선(2004).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7(1), 88-94.
박은선(2003).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자폐성 장애연구. 4(1), 89-102.
박은선(2003). 신체이미지에 대한 미술치료적 접근.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논문집. 4, 15-28.
<저서>
임상실습지침서. 2010년. 하나의학사
100세 시대를 여는 Smart Aging. (공저). 2013년. 하나의학사
건강한 부모, 행복한 자녀(공저), 2012년. 하나의학사.
준비된 노년은 즐겁다(공저). 2004년. 양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