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준형 > 교수 소개 | 명지대학교 미래융합대학

김준형 > 교수 소개

본문 바로가기
서브 헤더
부동산학과

김준형

직위
부동산학과 주임교수
전화
02-300-0737
E-Mail
junhgkim@gmail.com

본문

전공

도시계획론, 부동산입지론, 부동산주택정책론, 토지정책론 등


학력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계획학 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계획학 박사


주요경력 및 활동

(현) 명지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

(전) 미국 포틀랜드주립대학(Portland State University), 방문교수

(현) 한국주택학회 ,한국감정평가학회, 한국지역개발학회, 한국지역학회 편집위원

(현)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한국부동산분석학회,  한국지역개발학회, 한국지역학회, 

한국도시설계학회, 도시정책학회 이사 

(전) 서울시정개발연구원 (현 서울연구원)

(전)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전) 서영엔지니어링 

(전)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소 

(전) KB 국민은행연구소 

(전)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BK 조교수

(전) 대구대학교 행정대학 도시·지역계획학과, 조교수


주요연구

“공공임대주택의 과밀주거와 과소주거”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최막중의 국토 및 도시계획 연구경향 분석: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과밀주거의 문제-기준과 측정”

“RIR은 국내 임차가구의 주거비부담을 측정할 수 있는가?”

“수익성 부동산 감정평가의 문제점과 대안:오피스를 중심으로”

“근린 놀이환경 적합도 및 요인 평가에 관한 연구-서울의 초등학생 부모 대상 설문조사결과를 중심으로”

"상가 분양가의 결정요인: 서울 마곡지구를 중심으로"

"A review of Zero Energy Housing(ZEH) regulations for low-income households"

"재건축초과이익, 왜 환수하여야 하는가?"

"태양광발전소의 감정평가: 실태와 대안"

"외지인의 주택 프리미엄: 탐색비용과 정박효과를 중심으로"

"근린환경에서 아동 바깥놀이 활동의 시간·공간 특성 – 서울시 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의 근린 놀이환경 인식을 기반으로"

"에너지효율주택의 감정평가: 원가법과 DCF법의 적용"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의 경제적 편익 추정: 생산함수 접근법"

"에너지효율주택에 대한 선호와 수요: 제로에너지주택에 대한 주민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근린내 혼합의 가치: 초등학교 학부모 설문조사를 기초로”

“Variations in ageing in home and ageing in the neighbourhood”

“건물의 경과연수가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 – 서울 강남구 비주거용 건물의 1층 임대료를 중심으로”

“청년 주택문제에 대한 세 가지 가설 – 한국노동패널자료의 서울 청년가구를 중심으로”

“건축물 에너지 효율등급 강화에 따른 주택건설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Wealth composition and drawdown patterns of retirees: a comparative study”

“Korean Flight”은 존재하는가?: 패널 그랜져 인과관계 검정과 한국노동패널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외국인 유입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 외국인 인구와 내국인 인구 변화간 관계를 중심으로”

"주택가격 하락 시기의 자가소유 - 소비수요와 투자수요 구분을 중심으로"

"주거복지정책 수단으로서 최저주거기준의 활용실태와 대안탐색: 주택종합계획을 중심으로"

"에너지효율주택의 최대투자규모 추정 - 제로에너지주택을 중심으로"

"서울 중고령가구의 주택자산 이전에 관한 연구"

“Myths of migration on retirement in Korea: do the elderly move to less dense areas?

“상환방식과 가구자산을 고려한 하우스푸어의 판별과 특성분석

“주택수요의 규모별 분포 예측 : 맨큐 - 와일 모형에서 추계가구자료의 활용”

“주택보유자의 손실회피 성향과 매도가격의 설정: 손실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Design elements to improve pleasantness, vitality, safety, and complexity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evidence from Korean neighborhood walkability case study”

“1인가구와 주택수요 : 연령 및 소득효과를 중심으로”

“외국인 노동자 밀집거주에 의한 근린효과 - 서울 가리봉동 · 대림동을 대상으로”

“은퇴 이후의 주거입지 : 서울거주 인구를 중심으로”

“주택담보대출규제와 그 목표간 연계성에 관한 연구”

“연안도시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법제도적 고찰”

“계획인구는 왜 정확히 추정되지 못하는가 : 경북의 23개 시 · 군을 대상으로”

“고령화와 주택시장 : 은퇴 전후 주택소비 변화를 중심으로”

“부동산자산의 지역불균형”

“주택시장의 손실회피 행태와 기준점 설정에 관한 연구”

“국내 지방대도시권의 광역화 현상에 관한 연구”

“오피스건물의 임차인 구성과 그 이질성에 관한 연구”


인문캠퍼스 : (우)03674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거북골로 34 (전화 : 02-300-1562~4,1572)

자연캠퍼스 : (우)17058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명지로 116위즈

Copyright © 명지대학교 미래융합대학 All rights reserved.